2013. 8. 8. 21:52ㆍ한방약초.건강식품.
♣작약의 효능♣
▶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, 뿌리를 한약재로 사용합니다.
▶주로 7월 이후인 여름부터 가을에 채취하며, 작약은 한방에서
불리는 이름으로 '적(積)을 그치는 약(破積)'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.
▶여기서 적은 배나 가슴에 급작스럽게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병을 말합니다.
▶결국 백작약은 붉은꽃이피는 작약과 구분해서 하얀 꽃이피는 작약이라는 뜻이됩니다.
▶그렇다고 해서 작약이 대부분 붉은 꽃이 피기는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고
흰꽃이나 노란꽃이 피기도 합니다.
▶흰꽃이나 붉은꽃을 말하는것은 꽃의색깔이 아니라 뿌리를 자르면
붉은빛이 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.
▶한방에서는 모든 종류의 작약을 약재로 쓰는데 중요한 부위도 뿌리입니다.
▶고문헌에서 작약은「신농본초경」(神農本草經)에 상품약(上品藥)으로
기재돼 있을뿐 적,백의 구분은없고, 8세기경의 당대(唐代)
「본초습유」(本草拾遺)에서 약효를 구분하여 백작약은 보(補)하고,
적작약은 사(瀉)한다, 하여 사용이 구별돼 왔습니다.
▶현재 우리나라의 「대한약전」에서는 2002년에 적작약,백작약의 구분을 없애고,
모두 작약(芍藥)으로 통일해서 사용하고 있으며, 「중국약전」에서도 우리나라와 같이
적작약, 백작약의 기원식물을 작약(Paeonia lactiflora Pallas)으로 하고 있습니다.
▶작약은 중국을 비롯해서 중앙아시아, 남유럽까지 자랍니다.
▶꽃이 아름답고 약용으로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했는데
중국에서는 모란을 '꽃의 왕'이라 하여 화왕(花王)이라 했고.
작약을 '꽃의 재상'이라 하여 화상(花相)이라 여기기도 했습니다.
◈작약의효능◈
▶작약류는 한방에서 기본적으로 갖춰 놓아야할 5대 약재 가운데 하나라고 합니다.
▶뿌리를 말린것을 달여 복용하면 신경이나 근육의 긴장을 누그려 뜨려
복통이나 신경통, 등 통증을 멈추게 하는데 좋다고 합니다.
▶빈혈로 인해 일어나는 팔이나 다리 등의 근육경련에도
감초와 함께 섞어 사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.
▶위장염과 위장의 경련성동통에 진통효과를 나타내고, 소화장애로 복통, 설사,
복명(腹鳴)이 있을때에 유효하며, 이질로 복통과 후중증이 있을 때에도 효과가 빠르다.
▶부인의 월경불순과 자궁출혈에 보혈, 진통, 통경의 효력을 나타낸다.
만성간염에도 사용되고 간장 부위의 동통에도 긴요하게 쓰입니다.
▶약리적 작용으로는 흰쥐의 위장과 자궁의 평활근에 대하여 수축력을 약화시켰고,
토끼의 장관에는 진경(鎭痙) 효과를 나타냈다. 배당체 성분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한다.
이 밖에 항균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, 이질균, 용혈성연쇄상구균,
폐렴쌍구균,의 발육을 억제시킵니다.
▶작약은 중추신경 억제작용이 있어서 진정, 진통작용을 나타내고,
위장과 평활근의이완작용과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어 위경련 및 장딴지
근경련과 위염 위궤양에효과가 있다고 보고됐습니다.
▶또한 혈소판의 혈전형성 억제효과가 있고 간기능보호효과와 혈관확장
작용이 있으며 가벼운 혈압 강하 작용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▶산작약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깊은 산속의 수림 밑에서 자란다.
▶꽃의 색깔은 흰빛이며, 붉게 피는것도 있다.
▶꽃은 5~6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한송이의 꽃이 피어나는데
5~7매 정도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.
▶꽃은 활짝 피지 못하고 반정도 벌어진 상태에 머무는데
그 지름은 4~5센터미터 크기이다.
▶흔히 꽃이 희고 뿌리가 굵으며 살진 것을 백작약(금작약)이라고 하며,
붉은색 또는 가지색 꽃이 피고 뿌리가 가늘며 힘줄이
많은 것을 적작약(목작약)이라고 한다.
▶집에서 기르는 함박꽃과 산작약뿌리를 백작약이라하고,
메함박꽃뿌리를 적작약이라고 한다.
▶꽃색에 따르지 않고 뿌리 모양에 따라 메함박꽃뿌리는 가늘고
힘줄이 있으며 함박꽃과 산작약 뿌리는 살찌고 굵다.
▶중국에서는 산에서 저절로 나는 메함박꽃과 산작약뿌리를 적작약이라하고
재배하는 함박꽃 뿌리를 백작약으로 사용한다.
▶생약명은 백작, 백작약, 산함박꽃, 메함박꽃, 이라고도 부른다.
▶집에서 기르는 작약보다 산작약이 효과가 훨씬 우수하다.
▶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.
▶잘게 썰거나 썬 것을 불에 볶아 쓰기도 한다.
▶성분은 안식향산과 아스파라긴 등을 함유한다.
▶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해서 먹기도 한다.
▶쓰고, 신맛이 있으므로 데쳐서 잘 우려내서 먹는다.
▶약효는 진통, 해열, 진경, 이뇨, 조혈, 지한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.
▶복통, 위통, 두통, 설사복통, 류머티즘성관절염, 월경불순,
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, 대하증, 식은땀을 흘리는 증세, 신체허약증에 쓴다.
▶말린 약재를 6~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.
▶북한에서 펴낸 <동의학 사전> 에서는 백작약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.
▶“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다. ▶간경, 비경, 폐경에 작용한다.
▶혈을 보하고 통증과 땀, 출혈을 멈추며 간화를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.
▶혈허증, 혈허로 배가아픈데, 위장경련으로 배가아픈데,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아픈데,
신경통, 류머티즘성관절염, 월경통, 흉통, 간화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데,
신경쇠약, 월경과다, 부정자궁출혈, 자한, 식은땀, 이질, 대하, 뾰두라지,등에 쓴다.
▶하루 6~12그램을 달이거나 환으로 또는 가루내어 먹는다.
▶백작약의 전초도 지사약으로 쓴다.
▶허한증에는 백작약은 쓰지 않으며, 여로와는 배합금기이다.
▶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. 작약의 뿌리를 약으로 쓴다.
▶안덕균씨가 쓴<한국본초도감>에서는 백작약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.
▶"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다.
▶양혈염음, 평억간양, 유간지통의 효능이 있어 간혈이 부족하여 얼굴이 희고,
광택이 없으며,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손톱과 발톱의 색이 퇴색되어
가는 증상에 보혈 및 화혈 작용을 보인다.
▶여자의 간혈 부족으로 인한 생리불순 및 자궁 출혈을 다스리고,
산전, 산후의 여러 증상에 통용된다.
▶신체가 허약해서 땀이 많거나 도한이 있을때에 유효하다.
▶열병이나 만성 질환에 잘못 치료해서 땀을 내거나 설사를 시켜 나타나는
수족 떨림증 및 피부가 떨리고 심하면 반신불수가 되는 증상에
양혈(養血)유간(柔肝), 식풍(息風)의 치료 효과가 있다.
▶간양상항(肝陽上亢)으로 인해 나타나는 어지럼증, 이명, 홍적색 얼굴,
안구충혈, 조급증, 화를 잘 내면서 머리가 무거운 증상에 쓴다.
▶간은 근육의 운동을 주관하므로 복통 및 사지가 땡기면서 아픈 증상을 다스린다.
▶성분은 paeonifolrin, paeonin, paeonol, 정유, 탄닌, 등이 알려졌다.
▶약리작용은 중추 신경억제 작용이 있어서 진정, 진통 작용을 나타내고,
위장과 평활근의 억제 작용과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
▶혈소판의 혈전형성 억제효과가 있고, 간기능 보호 효과와 혈관 확장
작용이 있어서 가벼운 혈압 강하작용을 보인다.
▶임상보고에서 습관성 변비, 위 십이지장궤양,에 유효하였고,
비장근 경련을 완화시켰다. ▶약침 제제로는 진통 효과가 입증되었다.
▶백일해에도 임상 효과가 밝혀졌고, 기관지천식에 유효 시간을 단축시켰다.
▶선천성 위축성 근육강직 증상에 체질에 따른 배합 처방으로
유효성을 보였고, 당뇨병에도 혈당 강하 반응을 나타냈다.
◈작약(뿌리)의 효능◈
(1)혈액순환을 원활히 함 (2)특히 여성에게 좋음
(월경과다,부정자궁출혈,신경쇠약,생리통 진정,월경불순,여성의폐경등)
(3)소화능력 향샹 (4)식욕을 돋게하고 위와간의 질병,기침,천식등에 좋음
(5)가슴과옆구리의 통증,관상동맥경화,심장병에 효과
(6) 통증에 진통작용 탁월(두통,위통,설사복통,류마티스관절염)
(7)안구충혈,어지럼증,이명,조급증,화를 잘내면서 머리가 무거운 증상
(8) 감기기운 있을때 ,감기몸살시 (쌍화탕의 주재료가 작약임)
◈증상별 복용◈
☞속이 거북하고 소화가 안될때 : 백작약 50g, 감초 2.5g을 600ml의 물에
넣고 끓이다 불을 줄이고 은근히 달인다. 국물만 꿀에 타서 마신다.
☞담석증 경련성 아픔 : 백작약 20g, 감초12g을 끓여 하루 3번 먹는다.
☞이질, 식도염 : 작약 뿌리 5 ~ 7g을 1회분으로 달여 3 ~ 4회 복용한다.
▶임신부들에게 많이 보이는 찐득찐득한 냉이 많이 흐르고 부정 성기 출혈이 있으며
아랫배 까지 아퍼오는 자궁질부미 : 백작약을 노랗게 볶은것 10g과
측백잎 약간 구운것 40g을 섰어 가루내어 1회 8g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.
☞젖이 불어나고 아픈데 : 맥아(볶은것) 50g, 천궁 5g, 백작 15g, 생지황 10g을
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먹는다. 맥동 100g을 물로 달여서 수시로 먹는다.
☞월경통 : 당귀 20g, 적작 15g, 백작 15g, 오약 15g, 향부 15g을
물로 달여서 월경이 시작될 때 먹는다.
▶작약뿌리 차 : 작약은 굉장히 쓴맛이 나므로 먹기 좋게 대추와 감초를 넣어
큰 주전자(3.6 L )에 작약 1개~ 2뿌리(큰것은 한뿌리)에 감초 자른것 5개,
대추 8개 정도 넣고 물이 끊으면 약한불로 30분정도 달여서 냉장고에 넣어놓고
물대신 하루에 4잔~5잔 정도 마시면 좋고 칡이 있으시면 칡도 함께 넣으면
위장과대장도 튼튼해지고 감기도 낫고 감기예방도 됩니다.
▶관절이 안좋으신분들은 가시오가피 나무를 상기재료에 다 더하여 드시면
매우 좋은 효과를 얻을것으로 확신합니다.
'한방약초.건강식품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♣아사이베리의 효능♣ (0) | 2013.08.12 |
---|---|
♣로얄제리 효능♣ (0) | 2013.08.09 |
♣가시오가피의 효능♣ (0) | 2013.08.05 |
♣보리수 열매의 효능♣ (0) | 2013.08.04 |
♣칡의효능♣ (0) | 2013.08.03 |